대단원 |
Ⅰ. 정보화 사회와 컴퓨터 |
차 시 |
/ |
소단원 |
|||
학습목표 |
1.
정보화 사회에서, 컴퓨터의 역할과 컴퓨터의 특성 및 활용 분야를 알
수 있다. |
♣ 정보화 사회 : 사회에서 생산되고 유통되는 정보의 양과 종류가 절대적으로 증가하여, 정보가 부와 가치 창출의 중심이 되는 사회
(1) 컴퓨터의 특성
① 컴퓨터에 의한 처리
결과는 정확하다.
② 컴퓨터는 많은 양의 자료를 처리할 수 있다.
③ 컴퓨터는 처리 속도가 빠르다.
④ 컴퓨터는 여러
가지의 일을 처리할 수 있다.
(2) 컴퓨터가 할 수 있는 일
① 복잡한 수치 계산, 통계 등 과학 기술 분야의 일
② 기업 관공서에서의 자료를 분류 보관하고, 검색하며 수정하는 일
③
각종 문서나 출판하는 일
④ 그림, 동영상 등 화상 자료를 처리하는 일
⑤ 음성의 인식, 합성 등 음성 자료를 처리하는 일
⑥ 통신망을 통하여
자료를 주고받는 일 등을 할 수 있다.
(1) 컴퓨터의 주요 장치
♣ 넓은 의미에서의 하드웨어는 물리적인 장치를 의미한다.
컴퓨터에서의 하드웨어는 컴퓨터 본체와 그에 연결되는
주변 기기들을 말한다. 컴퓨터를 구성하는 주요 장치에는
제어 장치, 연산 장치, 입력 장치, 출력 장치,
기억 장치가 있다.
① 제어 장치
자료의 입력, 연산, 기억, 출력과 같은
일련의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일
② 연산 장치
실제로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장치이다. 연산 장치에서는 사칙 연산, 논리 연산 등을 수행한다.
③ 기억 장치(메모리 Memory) [맨위로]
(가) 주기억장치
a. 롬(ROM, Read Only Memory)
롬은 기억된 내용을 읽기만 하고, 쓸 수 없는 읽기 전용 기억 소자로서 전원이 끊어져도 그 안의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컴퓨터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중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둔다. 즉, 키보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자료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 메모리에서 프로그램을 읽는 방법과 같은 컴퓨터 운영의 기본이 되는 바이오스(Basic Input Output System)를 담는 데 사용된다. 이 용도로 사용되는 반도체를 바이오스 칩이라고 한다. 바이오스는 컴퓨터가 켜질 때 자동으로 작동되는 기동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것은 PC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기동 프로그램은 CPU, 시스템 버스, 그리고 비디오 카드를 차례로 검사하여 이상이 있으면 경고음으로 알려 주고, 이상이 없으면 이 단계부터 컴퓨터 화면에 메시지가 표시되기 시작한다. 그 다음 메모리, 키보드, 디스크를 차례로 검사하고 이상이 없으면 부팅 디스크를 찾는다. 이 단계가 하드웨어와 관련된 준비 작업의 끝이며, 여기까지의 작업은 롬에 저장된 바이오스가 담당한다. 이후부터의 부팅 작업은 시스템 파일이 담당한다.
b.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맨위로]
램은 읽고 쓸 수 있는 기억 소자로서 CPU가 처리할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곳이다. 그러나 전원이 끊어지면 그 안의 내용이 모두 지워지는 휘발성 특성이 있다. 램은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고 변경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정보를 다시 읽고 쓰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이 작업을 리프레시(Refresh)라고 하며 리프레시 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램의 속도가 된다.
(나) 보조 기억 장치
현재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저장하며 전원에 관계없이 지워지지 않는 별도의 기억장치이다. 종류로는
대형 컴퓨터에 사용하는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이 있고 개인용 컴퓨터에
사용되는 플로피 디스크, 테이프 백업 장치, 하드 디스크, CD-ROM, ZIP디스크
등이 있다.
CD-ROM |
HDD |
FDD |
④ 입력 장치 [맨위로]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의 2진 코드로 변환하여 주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장치. 키보드, 마우스, 라이트 펜, 그래픽 판, 카드 판독기, 바코드
판독기,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이 있다.
|
||
키보드 |
스캐너 |
|
⑤ 출력 장치
컴퓨터가 처리한 자료를 사람이 알아볼
수 있도록 문자나 그림, 동영상, 소리 등으로 바꾸어 나타내 주는 장치. 모니터,
스피커, 저장장치, 프린터 등이 있다.
|
||
프린터 |
모니터 |
|
(2) 메인보드 [맨위로]
① 슬롯 1
② 확장 슬롯 : ISA 슬롯, PCI 슬롯, AGP 슬롯
③ 램 소켓
④ 바이오스 칩
⑤ 칩셋
⑥ 하드디스크/플로피디스크
포트
⑦ 직렬/병렬(시리얼/페러렐) 포트
⑧ 뒷 패널
♣ 소프트웨어 : 어떠한 일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모임. 시스템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
(1) 시스템 소프트웨어
♣ 컴퓨터의 모든 장치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운영체제 프로그램, 언어 프로그램, 유틸리티 프로그램
①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맨위로]
컴퓨터로 일을 처리할 때 다른 프로그램의 실행을 도와주거나 주변 장치를 관리하고 통제하여 컴퓨터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들. 도스(DOS), WINDOWS, WINDOWS NT,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맥킨토시(Mac OS)등이 있다.
② 언어 프로그램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베이직(BASIC), 코볼(COBOL), 포트란(FORTRAN), 파스칼(PASCAL), 시(C), 비주얼 베이직(visual BASIC), 비주얼 C++(visual C++), HTML, 자바(JAVA)등이 있다.
③ 유틸리티 프로그램
사용자가 일을 보다 더 쉽게 처리하도록 도와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파일 관리 프로그램, 메모리 관리 프로그램,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파일 압축/해제 프로그램, 바이러스 치료 프로그램 등이 있다.
(2) 응용 소프트웨어 [맨위로]
♣ 어떤 일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미리 만들어 놓고, 사용자가 목적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① 문서 작성 프로그램 : 문서의 작성, 편집, 인쇄, 저장
등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워드 프로 세서라고도 한다.
② 전자 계산표
프로그램 : 숫자로 되어 있는 자료들을 쉽게 계산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스프레드
시트라고도 한다.
③ 자료 관리 프로그램 : 여러 가지 문자, 숫자 자료의
입력, 분류, 저장, 검색, 수정 등 많은 양의 자료를 쉽게 관리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베이스 관리 프로그램이라고도 한다.
이 밖에 소리나 영상 관련
프로그램, 통신 프로그램 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