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단원 |
Ⅱ. 컴퓨터의 조작 |
차 시 |
/ |
소단원 |
1. Windows 98의 기본 |
||
학습목표 |
1.
컴퓨터를 기동하고 종료할 수 있다. |
1. Windows 98의 기본
1)
컴퓨터의 기본 조작
2)
Windows98 다루기
(1) 기동과 종료
① 부팅(booting) : 컴퓨터 스스로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설정하는 과정. 시스템에 전원이 들어오면 컴퓨터에 설치된 각 장치들의 정상 여부를 검사하여 하드웨어에 관련된 준비 작업을 한다. 다음으로 컴퓨터 사용에 필요한 명령들을 시스템 파일로부터 주기억장치로 읽어 들여서 컴퓨터 사용 환경을 설정하고, 마지막으로 운영체제를 실행한다.
② 윈도우(windows98)에 의한 기동과 종료
a. 기동할 때는 모니터, 프린터 등의 컴퓨터 주변
장치의 전원을 켠 다음 본체의 전원을 켠다.
b. 종료할 때는 [시작]-[시스템
종료]/[시스템 종료]-[확인]의 순서에 따라 종료한다.
c. 재
기동하는 방법
- 컴퓨터 리셋 스위치를 누르는
방법
- [Ctrl]키와 [Alt]키를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Del.]키를 눌러
프로그램 종료 창을 이용하는 방법
- 컴퓨터 전원 스위치를 이용하는
방법
(2) 마우스와 키보드 사용법 [맨위로]
① 마우스 사용법 : 마우스 동작에는 클릭(click), 더블 클릭(double click), 끌어다 놓기(drag & drop)가 있다.
a. 클릭 : 왼쪽 단추 클릭(일반적 클릭, 항목을 선택)
오른쪽 단추 클릭(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면의 단축 메뉴를 이용할 때)
b. 더블 클릭 : 프로그램 실행, 폴더 열기
c. 끌어다 놓기 : 아이콘의
이동, 단축 아이콘 만들기나 창의 이동, 창의 크기를 조정
② 마우스 포인터 : 윈도가 실행된 후 바탕 화면에 표시되는 조그만 화살표. 윈도와 사용자가 대화하는 수단.
③ 키보드 사용법 [맨위로]
키보드 구성 : 기능
키, 숫자 키, 문자 키, 방향 키
키 |
기능 |
키 |
기능 |
[Esc] |
선택한 것을 취소 |
한/영 |
한글과 영문 입력상태 변환 |
[Tab] |
문서 입력시 지정된 칸만큼 이동하고, 대화상자에서 여러 항목 사이를 이동(Tap) |
한자 |
한글을 한자로 변환 |
[BackSpace] |
커서 왼쪽에 있는 글자 지움 |
||
[PrintScreen] |
화면 내용을 그림으로 저장 |
||
[CapsLock] |
영문 대·소문자의 입력 결정 |
[NumLock] |
숫자 키를 숫자 키/방향 키로 변환 |
[Shift] |
자판의 윗 문자 입력시 사용(~기호로 나타냄) |
[Insert] |
삽입, 수정 모드 변환 가능 |
[Delete] |
커서가 위치한 글자 지움 |
||
[Ctrl] |
단축키에 사용되는 조합 키 |
[Home] |
현재 줄의 제일 처음으로 이동 |
[Alt] |
단축키에 사용되는 조합 키 |
[End] |
현재 줄이 제일 끝으로 이동 |
[F1]∼[F12] |
각 키에 해당되는 여러 가지 명령들을 수행 |
[PageUp] |
문서 작성시 현재 줄에서 한쪽 위로 이동 |
[SpaceBar] |
빈 공백 입력 |
[PageDown] |
문서 작성시 현재 줄에서 한쪽 아래로 이동 |
[Enter] |
입력한 명령을 실행하라고 컴퓨터에 알려줌. |
[←][→] [↑][↓] |
커서의 위치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
(1) Windows98의 기본
① 윈도 화면의 구성 : 바탕 화면, 아이콘, 단축 아이콘, 작업 표시줄
a. 바탕 화면 :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작업할 수 있는 부분.
b. 아이콘 : 컴퓨터 시스템의 장치나 프로그램
파일을 나타내는 작은 그림.
c. 단축 아이콘 : 해당 프로그램의 위치와
몇 가지 옵션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그림파일의 일종으로 단축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면 그 속의 정보를 이용하여 원본 파일을 실행시킨다.
e.
작업 표시줄 : 컴퓨터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상황을 표시해
주는 곳.
② 파일(file)과 폴더(folder) [맨위로]
a. 폴더 : 서로 관련되어 있는 파일들을 다른 파일들과 구별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모아 두는 공간.
b. 파일 : 작업한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디스크 장치에 저장하는 기본
단위.
- 파일 명 : 파일을 구별하기 위한 이름. 이름과 확장자로 되어있다.
- 이름 : 255자(한글인 경우 127자)까지 사용. 마침표(.)를 기준으로
이름과 확장자로 구분.
- 확장자 :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부여되며
확장자를 보면 그 파일의 성격을 알 수 있다.
확장자 |
의미 |
확장자 |
의미 |
txt, doc, hwp |
문서 파일 |
bmp, jpg, gif |
그림 파일 |
dll |
함수 파일 |
com, exe, bat |
실행 파일 |
wav |
소리 파일 |
ini |
초기화 파일 |
ico |
아이콘 파일 |
mid |
음악 파일 |
avi, mov, mpg |
동영상 파일 |
drv |
드라이브 파일 |
③ 창의 구성 : 창이라고 불리는 곳은 각각의 독립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열려있는 창 하나 하나가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여러 개의 창이 열려 있어도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창은 하나이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창을 활성창 이라고 하고, 열려져 있는 창 중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은 창을 비활성창 이라고 한다. [맨위로]
a. 제목표시줄 :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제목이나 파일 이름이 나타나는
부분으로 이곳을 끌어 창을 이동시킬 수 있고, 더블 클릭하면 최대화된 창
크기와 원래 창 크기를 번갈아 보여준다.
b. 최소화 단추, 최대화 단추, 창닫기 단추
: 최소화 단추는 창을 최소화하여 작업 표시줄로 아이콘화하여 이동시키고,
최대화 단추는 창의 크기를 전체 화면 크기만큼 최대화시킨다. 창닫기 단추는
프로그램 실행을 종료하거나 열린 창을 닫는데 사용한다.
c. 메뉴 표시줄 :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메뉴가 있으며 메뉴를 클릭하면 여러 명령이
나열된 부메뉴가 나타난다.
d. 도구
모음 :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모아 둔 곳이다.
e. 주소 표시줄 : 폴더나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여 바로 연결하는 부분.
f. 상태
표시줄 : 열려 있는 창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보여주거나, 선택한 폴더나 파일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부분.
g. 수직 이동 줄, 수평 이동 줄
: 창의 화면을 위, 아래로 왼쪽,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표시할 때 사용.
④ 시작
메뉴 : 작업이 시작되는 곳으로 특정 프로그램의
실행과 관련된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시작 메뉴에는 윈도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프로그램, 최근에 사용한 문서, 컴퓨터 환경의 설정, 파일이나 폴더의 찾기,
도움말, 프로그램의 실행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a. 프로그램
메뉴 : 여러 가지 등록된 프로그램이 표시되는
곳.
b. 즐겨 찾기 메뉴 : 자주 이용되는 폴더나 인터넷 사이트를 표시하는 곳.
c. 문서 메뉴
: 최근에 작업했던 문서가 표시되는 곳.
d. 설정 메뉴 : 각종 장치의 환경을
설치하거나 변경시키는 곳.
e. 찾기 메뉴 : 파일이나 폴더 또는 컴퓨터를 찾는 곳.
f. 도움말 메뉴 :
Windows 98에 대한 도움말을 보는 곳.
g. 실행 메뉴 : 각종 실행 파일을 입력하여 실행하는 곳.
h. 로그오프 메뉴 :
네트워크나 인터넷의 접속을 끊는 곳.
i. 시스템
종료 메뉴 : 컴퓨터 작업을 종료하거나 재 기동할
때 사용함.
⑤ 작업 표시줄 [맨위로]
a. 빠른
실행창 : 한번의 클릭으로 빠르게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곳으로 아이콘의 추가 삭제가 가능하다.
b. 작업 표시줄 :
윈도는 문서 작성을 하면서 음악 감상을 하거나 게임을 즐기는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해 놓고 작업할 수 있다. 그러나 실행 중인 모든
프로그램을 바탕화면에 나타내면 복잡하므로 현재 작업 중인 프로그램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그램은 작업 표시줄에 최소화하여 두었다가 필요할 때
클릭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 편리하게 사용하는 곳이 작업 표시줄이다.
c. 표시기
: 작업 중 변경이 필요한 장치나 작업들을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모아 둔
곳으로 더블 클릭하면 실행된다.
⑥ 탐색기 : 탐색기는 드라이브나 폴더 전체를 트리 구조로 보여주는 폴더창과 현재 폴더의 내용을 보여주는 창으로 나누어져 있어서, 드라이브 및 폴더와 파일의 관리가 편리하다. 화면의 왼쪽 폴더창에는 현재 폴더의 경로와 위치가 나타나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폴더아이콘은 열려진 그림으로 되고 폴더이름은 반전되어 표시된다. 폴더 앞에 [+]가 나타난 폴더는 이 폴더 안에 또다른 폴더가 있음을 알려 주는 것이다. [+]를 클릭하면 하위 폴더가 표시되며 [-]로 바뀌고 [-]를 클릭하면 하위 폴더가 없어지고 [+]로 바뀐다. 탐색기를 이용하여 폴더나 파일들을 새로 만들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폴더 사이의 파일 이동, 파일 복사, 파일 삭제 등 여러 가지 작업을 할 수 있다. 탐색기 아래의 상태표시줄에는 현재 있는 용량이 표시된다. 그리고 탐색기 메뉴 표시줄의 보기를 이용하면 표시되는 목록을 웹페이지 형식/큰 아이콘/작은 아이콘/간단히/자세히 로 나타낼 수 있어 자유롭게 화면을 조정할 수 있다.
a. 탐색기의 실행 방법 : [시작]-[프로그램]-[Windows
탐색기]클릭 [맨위로]
b. 폴더 만들기 :
[파일]메뉴-[새로 만들기]-[폴더] 클릭
c. 폴더의 선택
- 파일이나 폴더를 하나만 선택하고자 할 때는
선택하려는 파일이나 폴더를 클릭한다.
- 연속된 파일이나 폴더를 여러 개 선택하고자 할 때는 처음
파일을 선택한 후 [Shift]키를 누른 채 마지막 파일을 선택하여 마우스로
클릭한다.
- 떨어져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여러 개 선택하고자 할 때는
[Ctrl]키를 누른 채 해당 파일을 선택하여 마우스로 클릭한다.
- 전체를 선택할 때는 메뉴 표시줄의 [편집]-[전체선택]을
클릭하거나 [Ctrl]키를 누른 채 [A]키를 누른다.
- 선택한 것을 취소하려면 [Ctrl]키를 누른 채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클릭하고, 선택한 것을 모두 취소하려면 창의 빈 공간에
마우스 포인터를 놓고 클릭한다.
d. 파일과 폴더의 복사 : 파일을 선택하여 메뉴 표시줄의
[편집]-[복사]를 선택하여 클릭하고, 복사하려는 폴더나 드라이브를 선택하여
[편집]-[붙여넣기]를 선택하여 클릭한다.
e. 파일과 폴더의 이동 : 이동방법은
복사하는 방법과 같으나 [복사] 대신 [잘라내기]를 선택하면 된다.
f.
파일과 폴더의 삭제 : 삭제하고자 하는 파일 또는 폴더를 선택한 다음 메뉴
표시줄의 [파일]-[삭제]를 선택하여 클릭한다.
g. 단축 아이콘 만들기
: 탐색기에서 실행 파일을 선택한 다음 오른쪽 단추를 누른 채 마우스 끌어다
놓기 한 후 [여기에 바로 가기 만들기] 또는 [단축아이콘 만들기]를 선택하여
클릭한다.
[맨위로] [전자계산일반] [앞으로] [뒤로] [형성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