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실무 2학기 ( 2 )주 학습지도안 |
|||
대 단 원 |
PC운영체제 |
관련교구자료 |
|
소 단 원 |
2. 윈도우의 설치 및 구성요소 |
컴퓨터. 인쇄물 |
|
학습목표 |
한글 Windows의 특징을 알 수 있다 |
||
과 제 |
1. 인쇄 중에 문서를 작성하고 디스켓을 포맷하는 등 윈도우가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선점형 멀티태스킹 ② 멀티스레딩 ③ 32bit운영체제 ④ 멀티프로세싱 2. 윈도우를 설치하는 설치 마법사의 3단계를 간단히 써 보시오 3. 윈도우의 종료 방법 중 일단 종료 후 다른 사용자가 NETWORK를 사용하기 위해 선택해야 하는 항목을 쓰시오 4. 부팅 방법 중 한글 윈도우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사용자가 구성한 값 대신 기본 구성으로 화면에 안전 모드라고 표시되는 경우를 무엇이라고 하는지 영문으로 써 보시오 5. 멀티 부팅을 위해 눌러야 하는 키는? 6. 단축아이콘을 삭제하면 해당 프로그램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하여 쓰시오 7. 프로그램을 종료하기 위한 단축키를 쓰시오 |
||
1. 설치 사양(권장 사양) (1) 메모리 : 최소 6MB, 8MB이상(16MB이상) (2) CPU : 32비트로 동작하는 80486DX 이상(펜티엄급 이상) (3) 하드디스크 : 70MB이상의 빈 공간(1GB이상의 빈 공간) (4) 비디오카드 : VGA이상(Super VAG이상) (5) 기타 : 모뎀, CD-ROM 드라이브, 사운드카드, 스피커, 프린터 등의 설치를 권장.
2. 설치 방법 (1) DOS에서의 설치 ① 설치 디스크가 플로피디스켓일 경우 A:\>SETUP ② CD-ROM 드라이브인 경우 (드라이브명이 D인 경우) D:\>WIN98\SETUP (2) 설치 마법사로 설치(PnP) ① 하드 디스크 검사(SCANDISK)를 한다. ② 소프트웨어 사용계약을 확인한다. ③ 하드웨어를 검사한다. ※ 설치마법사의 3단계
(3) 설치 옵션(선택 사항) ①휴대용설치 : 노트북 사용자를 위한 설치 ②표준설치 :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설치 ③최소설치 : 하드 디스크의 여유가 없을 때 설치 ④사용자설치 : 윈도우나 다른 프로그램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컴퓨터에 지식이 있는 사용자에게 적당한 설치 (4) 사용자 정보, 제품번호를 입력 (5) 시스템을 분석 (6) 온라인 프로그램을 선택 (7) WINDOWS 구성요소를 선택 (8) 시동 디스크를 작성 (9) 윈도우 98프로그램의 복사를 시작 (10) 시스템 재시작 및 설치 완료 (11) 설치 마무리 작업으로 자동으로 진행된다.
3. 윈도우 98의 시작 (1) 전원을 켠다. (2) Checking system configuration....(환경설정을 스스로 체크) (3) Starting Windows 98....(윈도우 98프로그램을 시작) (4) 윈도 95의 바탕화면 상태로 된다
4. 윈도우 98의 종료 (1) 순서
(2) 주의할 점 : 순서를 무시하고 프로그램 실행 중 갑자기 전원을 끄면 system down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야 함.
5. 멀티 부팅(Multi-Booting) : 컴퓨터를 켠 후 Starting Windows 98라는 메시지가 표시된 후 F8키를 눌러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1) Normal : 정상 부팅 (2) Logged : 부팅 시에 읽어들인 파일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Booting.txt파일을 생성하면서 윈도우 실행 (3) Safe mode : 한글 윈도우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사용자가 구성한 값 대신 기본 구성으로 윈도우 시작(F5) -네트워크 지원이 되지 않음. 화면에 안전 모드라고 표시됨. (4) Safe mode with network support : 안전모드로 부팅을 하나 네트워크를 지원함(F6) (5) Step by step confirmation : 시작 단계를 화면에 표시하면서 부팅(Shift+R→ 빠른 재시작) (6) Command prompt only :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시작하나 윈도 95는 실행되지 않고 한글 윈도우의 도스 상태로 됨.(Shift+F5) (7) Mode command prompt only : 기본 구성으로 시스템을 시작하나 윈도우는 실행할 수 없고 DOS 프롬프트를 화면에 표시 (8) Previous version of MS-DOS : 백업된 파일로 부팅하는 것으로 이전 도스 버전으로 부팅(F4) 6. 아이콘과 단축아이콘 (1) 아이콘(icon) :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나타내는 작은 그림. 해당 아이콘을 더블 클릭(double click, 두 번 누르기)하면 아이콘이 나타내는 프로그램이나 파일이 실행된다. 아이콘을 삭제하면 프로그램이나 파일이 삭제된다. (2) 단축 아이콘(Shortcut) : 아이콘을 삭제할 때 파일까지 삭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단축아이콘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그 아이콘을 삭제하더라도 프로그램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단축아이콘에는 왼편 아래쪽에 작은 화살표가 그려져 있다.) 1)단축아이콘 만드는 방법
2) 단축아이콘 삭제
7. 바탕화면 (1) 한글 윈도우의 화면 전체를 표시함 : 아이콘을 배열해 놓거나 윈도우가 열리는 장소, 사용자 전체 작업 영역 =초기화면=데스크 탑 (2) 내 컴퓨터 아이콘 :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를 나타낸 아이콘으로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전화 접속 네트워크, cd-rom, 제어판, 프린터 등 주변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아이콘이 들어있음. (3) 휴지통 아이콘 : 파일을 삭제하였을 경우 일단은 휴지통 안에 들어가게 되는데 휴지통을 비울 때까지 이미 지운 파일을 복원할 수도 있다. (4) 받은 편지함 아이콘 : 인터넷이나 온라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을 때 전자메일, 팩스 등을 송수신 하는 곳. (5)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 :사용자 컴퓨터에 LAN, 전화선등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이 나타남. (6) 시작 단추 : 한글 윈도우 95에 등록된 프로그램이 모여 있는 곳. 1) 프로그램 : 응용 프로그램 수록 2) 문서 : 최근 작성했던 15개의 문서 기억(FIFI : First In First Out) 3) 설정 : 환경 변경 (제어판, 프린터, 작업표시줄, 시작메뉴, 폴더옵션, 액티브데스크톱등을 설정) 4) 찾기 : 특정파일 및 폴더를 쉽게 찾을 수 있음 5) 도움말 : 윈도우 도움말 수록 6) 실행 : 프로그램 설치 및 도스용,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실행 7) 시스템 종료 : 시스템을 종료 (7) 작업 표시줄 : 작업 중인 화면을 바꾸기 위한 곳으로 윈도우 98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응용 프로그램이 아이콘으로 작업 표시줄에 표시되고, 이곳을 통해 작업 변경이 가능해 지며, 숨김 기능, 상하좌우에 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마우스로 크기 조절도 가능(시작단추, 시계표시, 볼륨아이콘 등이 있음.)
8. 마우스 사용법 (1) 누르기(Click) : 마우스의 왼쪽 단추를 한 번 누르는 동작. 아이콘이나 명령을 선택할 때 사용한다. (2) 두 번 누르기(Double Click) : 마우스의 왼쪽 단추를 연속적으로 빠르게 두 번 누르는 것. 아이콘을 열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사용. (3) 끌기(Drag) :파일이나 어떠한 개체를 마우스의 왼쪽 단추를 누르기 한 채로 끌고 옮겨 가는 동작을 말한다. 창이나 아이콘 등을 이동할 때도 쓰인다. (4) 끌어다 놓기(Drag & Drop) : 마우스 왼쪽 단추를 누른 채 끌기를 해서 원하는 위치에서 놓는 것을 말한다. (5) 오른쪽 누르기 :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단축 메뉴(팝업 메뉴)가 나타난다.
9. 단축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