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실무 1학기 ( 11 )주 학습지도안 |
||||||||||||||||||
대 단 원 |
워드프로세싱 용어 및 기능 |
관련교구자료 |
||||||||||||||||
소 단 원 |
4. 문서 작업 환경 |
컴퓨터. 인쇄물 |
||||||||||||||||
학습목표 |
워드프로세서의 다양한 출력 기능에 대해 알 수 있다. |
|||||||||||||||||
과 제 |
1. 다음 VDT(Video Display
Terminal)관리에 대한 내용 중 맞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② 키보드에 손을 올려놓았을 때 팔꿈치의 각도는 90도를 유지한다. ③ VDT작업시간은 1일 8시간이 적당하다. ④ 1주일에는 5일 근무가 가장 이상적이다. 2. CRT작업시 주의해야
할 조명 방법으로 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② 반사상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반사되지 않도록 한다. ③ 고휘도 광원을 사용한다. ④ 조도는 100∼150Lux가 유지되도록 한다. 3. 사무실 내의
소음을 줄이는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②소음 발생원을 소음실로 격리시킨다. ③이중 유리시설을 한다. ④사무실 배치를 합리적으로 하여 불필요한 보행을 줄인다. 4. VDT(Video Display
Terminal) 작업 관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② 디스플레이는 창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즉 사용자가 창을 바라보고 앉는 것)하는 것이 눈부심 관리에 좋다. ③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문자를 나타낼 때는 대체로 백색과 같은 밝은 배경에 흑색 등의 어두운 문서가 눈부심에좋다. ④ 눈에서 모니터 화면까지의 거리는 40∼50cm를 유지한다. |
|||||||||||||||||
4. 문서 작업의 환경 (1) 작업시간 1) 1시간에 50분 작업, 10∼15분의 휴식 2) 하루에 가장 적절한 작업시간은 4∼5시간 정도 3) 1주일에는 5일 근무가 가장 이상적임. (2) 워드프로세서의 작업형태 1) 폐쇄형(Close) : 문서의 작성을 전적으로 전담하는 자가 모든 문서 작업을 처리하는 형태, 워드프로세서의 가동률(생산성)이 거의 100에 가깝다. 2) 개방형(Open) : 문서 작성을 전담하는 자를 두지 않고, 필요시 누구나가 자유로이 문서 작업을 처리하는 가장 바람직한 작업 형태이다. 가동률(생산성)은 폐쇄형보다 낮다. 3) 준 폐쇄형(Semi Close) : 문서 작성을 전적으로 전담하는 자는 없지만, 특정인만 문서 작업을 처리하는 형태. 문서 작성을 전적으로 전담하는 자는 없지만, 주로 한 사람을 배정하여 문서작업을 처리하는 형태. (3) 작업 환경 1) 작업 환경의 필요성 ① 조명등의 밝기를 적절히 조정한다.(300∼600룩스) ② 잘 꾸며진 쾌적한 분위기의 사무실에서 일하고 싶어하는 사무실 근무자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③ 최근 들어 건축 공간이 점차 대형화되어 가고 있고, 컴퓨터 등 고도로 복잡한 기능을 가진 사무 기기들의 등장으로 인해 사무 환경을 새롭게 꾸미려는 회사들이 늘어나고 있다. ④ 사무실 환경이 양호하다고 해서 직접적으로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는 어려우나 작업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쳐 결과적으로는 사무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2) 조명관리 : 빈약한 조명은 눈이나 신경을 피로하게 하며, 두통을 일으키고, 작업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①사무실 조명 방법
②조명 방법
3) 소음 관리 : 사무기기의 증가로 인해 소음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 소음은 혈압을 높이거나, 맥박을 빨라지게 하며, 소화 활동의 감퇴, 긴장감, 정신적 스트레스가 쌓이는 등 사고나 노동능력이 손상되어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소음에 대한 대책이 절실이 요구된다. 사무실의 소음의 크기는 40∼45db 또는 50phon 이하가 적당하다.
※ 소음 감소 대책
4) 온도 및 공조 관리 : 부적당한 온도나 습도, 오염된 공기는 작업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키므로 온도 및 공조관리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5) 색채 관리 : 색이 갖는 성질과 색이 인간에게 주는 생리적·심리적 작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4) 건강 관리 1) 작업자의 올바른 작업 환경
2) 신체 장애를 유발하는 작업 환경
3) VDT 증후군의 증상 및 예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