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실무  1학기  ( 11 )주  학습지도안

대 단 원

워드프로세싱 용어 및 기능

관련교구자료

소 단 원

4. 문서 작업 환경

  컴퓨터. 인쇄물

학습목표

워드프로세서의 다양한 출력 기능에 대해 알 수 있다.

과    제

1. 다음 VDT(Video Display Terminal)관리에 대한 내용 중 맞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의자의 바닥을 높이고, 낮추는 장치가 필요하다.

 ② 키보드에 손을 올려놓았을 때 팔꿈치의 각도는 90도를 유지한다.

 ③ VDT작업시간은 1일 8시간이 적당하다.

 ④ 1주일에는 5일 근무가 가장 이상적이다.

 2. CRT작업시 주의해야 할 조명 방법으로 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태양광선이나 인공조명에 의한 눈부심이 없도록 한다.

 ② 반사상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반사되지 않도록 한다.

 ③ 고휘도 광원을 사용한다.

 ④ 조도는 100∼150Lux가 유지되도록 한다.

 3. 사무실 내의 소음을 줄이는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바닥은 탄력성 없는 재료를 사용한다.

 ②소음 발생원을 소음실로 격리시킨다.

 ③이중 유리시설을 한다.

 ④사무실 배치를 합리적으로 하여 불필요한 보행을 줄인다.

 4. VDT(Video Display Terminal) 작업 관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사무실 벽면은 백색이 좋다.

 ② 디스플레이는 창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즉 사용자가 창을 바라보고 앉는 것)하는 것이 눈부심 관리에 좋다.

 ③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문자를 나타낼 때는 대체로 백색과 같은 밝은 배경에 흑색 등의 어두운 문서가 눈부심에좋다.

 ④ 눈에서 모니터 화면까지의 거리는 40∼50cm를 유지한다.

4. 문서 작업의 환경

 (1) 작업시간

    1) 1시간에 50분 작업, 10∼15분의 휴식

    2) 하루에 가장 적절한 작업시간은 4∼5시간 정도

    3) 1주일에는 5일 근무가 가장 이상적임.

 (2) 워드프로세서의 작업형태

    1) 폐쇄형(Close) : 문서의 작성을 전적으로 전담하는 자가 모든 문서 작업을 처리하는 형태, 워드프로세서의 가동률(생산성)이 거의 100에 가깝다.

    2) 개방형(Open) : 문서 작성을 전담하는 자를 두지 않고, 필요시 누구나가 자유로이 문서 작업을 처리하는 가장 바람직한 작업 형태이다.  가동률(생산성)은 폐쇄형보다 낮다.

    3) 준 폐쇄형(Semi Close) : 문서 작성을 전적으로 전담하는 자는 없지만, 특정인만 문서 작업을 처리하는 형태.  문서 작성을 전적으로 전담하는 자는 없지만, 주로 한 사람을 배정하여 문서작업을 처리하는 형태.

 (3) 작업 환경

   1) 작업 환경의 필요성

      ① 조명등의 밝기를 적절히 조정한다.(300∼600룩스)

      ② 잘 꾸며진 쾌적한 분위기의 사무실에서 일하고 싶어하는 사무실 근무자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③ 최근 들어 건축 공간이 점차 대형화되어 가고 있고, 컴퓨터 등 고도로 복잡한 기능을 가진 사무 기기들의 등장으로 인해 사무 환경을 새롭게 꾸미려는 회사들이 늘어나고 있다.

      ④ 사무실 환경이 양호하다고 해서 직접적으로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는 어려우나 작업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쳐 결과적으로는 사무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2) 조명관리 : 빈약한 조명은 눈이나 신경을 피로하게 하며, 두통을 일으키고, 작업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①사무실 조명 방법

    • 자연 조명 : 채광에 의한 자연광선을 이용한다.
    • 인공 조명 : 인공적으로 조명 기구를 이용한다.
    • 인공 조명 방법 : 직접 조명, 반직접조명, 산광 조명, 반간접조명, 간접 조명
    • 자연 조명이 인공 조명 보다 보건위생, 에너지 절약, 조도 등 여러면에서 더 좋은 방법이기는 하지만, 태양 광선에는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등이 있으므로 지나치게 자연 조명이 많이 들어오게 되면 오히려 해롭다.
    • 인공 조명을 사용할 때 에는 광원의 개수를 많게 하고 조명이 색깔은 가급적 햇빛에 가까운 것이 좋다.
    • 태양 광선이나 직접 조명, 광원 등 고휘 도면이 작업자의 시야에 비치거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반사되지 않도록 한다.

     ②조명 방법

    • 포괄 조명 방법 : 사무실 전체에 조명을 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천장에서의 직접 조명 방식에 의한다.
    • 작업대 조명 방법 : 독서 등이나 책상위의 스탠드와 같이 작업을 하는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방식이다.
    • 강조 조명 방법 : 미술 전시장에서 미술품에 조명하는 것과 같이 특정부분(대상), 또는 특정지역에만 초점을 맞추어 조명하는 방법이다.

  3) 소음 관리 : 사무기기의 증가로 인해 소음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  소음은 혈압을 높이거나, 맥박을 빨라지게 하며, 소화 활동의 감퇴, 긴장감, 정신적 스트레스가 쌓이는 등 사고나 노동능력이 손상되어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소음에 대한 대책이 절실이 요구된다. 사무실의 소음의 크기는 40∼45db 또는 50phon 이하가 적당하다.

계절

기온

습도

기류

여름

25℃

50∼60%

0.4∼0.5m

봄, 가을

22∼23℃

50∼60%

0.3∼0.4m

겨울

18∼20℃

50∼60%

0.2∼0.3m

 

  ※ 소음 감소 대책

  • 천장 : 흡음 건축 자재, 소리 완충장치, 소리 마스킹 등을 설치
  • 중간 : 흡음·차음용 패널 등을 설치
  • 바닥 : 카펫 등을 설치

  4) 온도 및 공조 관리 : 부적당한 온도나 습도, 오염된 공기는 작업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키므로 온도 및 공조관리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 표준 공조 내역 : 기류는 높이 1.5m에서 측정한 초당 공기의 이동 속도를 말한다.
  • 공조 방법
    • 가끔 창문을 열어 지연적으로 환기 시킨다.
    • 외부에서 들어오는 사람은 먼지를 털고 입실한다.  공기 샤워(Air Shower)방식을 사용하여도 좋다.
    • 가능한 범위 내에서 방문객의 입실을 제한한다.
    • 각종 공조기기를 이용한다.(냉난방기, 환기 조절기, 공기 정화기, 오존 발생기 등을 설치한다.
    • 가장 적당한 실내 온도는 20∼24℃ 전후이며, 29℃가 넘으면 능률이 크게 저하된다.
    • 습도가 높아지면 불쾌지수가 상대적을 높아지므로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5) 색채 관리 : 색이 갖는 성질과 색이 인간에게 주는 생리적·심리적 작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 색이 갖는 성질(색상, 명도, 채도)은 인간에게 생리적·심리적 작용을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도 하고 저하시키기도 한다.
  • 사무실 상부에는 압박감이 없도록 명도가 높은 색을 사무실 하부에는 안정감을 주기 위해 명도와 채도가 낮은 색을 사용하되 색의 조화가 이루어 지도록 배려한다.
  • 색이 주는 느낌
    • 붉은색 계통은 따뜻한 느낌을 청색계통은 차가운 느낌을 준다.
    • 어두운색 계통은 무서운 느낌을 밝은색 계통은 가벼운 느낌을 준다.
    • 붉고 밝은색 계통은 활동감·팽창감을 주며, 황색 계통은 침체감, 축소감을 준다.
    • 색채 차이가 클 때 오래 바라보면 피로감을 준다.

 (4) 건강 관리

   1) 작업자의 올바른 작업 환경

  • 작업대는 눈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며, 눈의 높이는 모니터 화면보다 약간 높은 것이 좋다.
  • 무릎의 각도와 팔의 각도는 90도 이상을 유지하며, 손등은 팔과 수평을 유지한다.
  • 키보드에 손을 올려놓았을 때 팔꿈치의 각도는 90도를 유지한다.
  • 작업자의 눈에서 모니터 화면까지의 거리는 45∼50cm가 가장 좋으며, 적어도 40 ∼45cm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 양쪽 측면에서 빛이 들어오지 않도록 창문에 커튼을 치는 것이 좋다.(눈을 보호하기 위해)
  • VDT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 모니터 화면에 필터 및 보안경을 부착한다.
  • 등은 곧게 펴고 작업하는 것이 좋다.
  • 키보드는 분리 가능하며 화면은 조정 가능해야 한다.
  • 작업자는 OA기기에 직사광선이 닿지 않도록 한다.

   2) 신체 장애를 유발하는 작업 환경

  • 화상 표시 단말기(VDT)
  • 온도, 습도, 시각
  • 작업 자세 및 작업 공간
  • 작업의 난이도
  • 작업 시간

   3) VDT 증후군의 증상 및 예방

  • VDT 증후군의 증상
    • 중추 피로(뇌의 피로)
      • 단조로움으로 인한 스트레스
      • 과다한 정보 처리, 고도의 판단에 따른 정신적 스트레스
      • 작업 체계의 부적절
      • 소음, 온도 등의 외적 환경 요인
      • 작업자의 심리적 상태
    • 눈의 피로(안정 피로)
      • 불분명한 문자, 휘도, 조명 등
      • 조명 및 공청 정도 등
      • 연속적 주시, 시선의 이동 등
    • 견통, 요통(국소근 피로)
      • 의자·탁자 등의 불량
      • 컴퓨터 불량
      • 구속적인 자세
  • VDT 증후군의 예방
    • 적당한 휴식을 취한다.
    • 1시간에 50분 작업, 10∼15분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 하루에 가장 적절한 작업시간은 4∼5시간 정도이다.
    • 1주일에는 5일 근무가 가장 이상적이다.
    • 작업 환경을 개선한다.
    • 모니터 절전 기능이나 모니터에 보안경을 부착한다.
    • 모니터 화면에 필터를 붙인다.

COPYRIGHT ⓒ 2001 A24S.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