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이오드
(1) 다이오드의 구조와 동작
다이오드 : "+"의 전기를 많이 가지고 있는 p형 물질과 "-"의 전기를 많이 가지고 있는 n형 물질을 접합하여 만든 것으로서, 한쪽 방향으로는 쉽게 전자를 통과시키지만 다른 방향으로는 통과시키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p는 인듐(In)이나 갈륨(Ga)과 같은 물질을 규소에 합성하여 "+"성분(hole:정공)이 많게 만든 물질이고, n은 비소(As)나 안티몬(Sb)과 같은 물질을 규소에 합성하여 "-"성분(electron:전자)이 많도록 만든 물질이다. 이들을 접합하여 만든 것을 다이오드라고 하며 pn junction 이라고도 한다.
[1] 다이오드의 내부 구조
종류 : pn접합형, 점접촉형
[2] pn 접합과 정류 작용
① 전압을 가하지 않을 때 : pn 접합면에 정공이나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전기장이 생김.
② 순방향 전압을 가했을 때 (n형에 -, p형에
+의 전압을 가했을 때)
- n형 반도체내의 전자는 전원의 -에 의해서 반발 당하고 전원의
+측에서는 끌어당기므로 전자는 n형에서 p형 쪽으로 이동.
- p형 반도체내의
정공은 전원의 +에 의해서 반발 당하고 전원의 -측에서는 끌어당기므로 정공은
p형에서 n형 쪽으로 이동
- 이와 같이, 순방향 전압에 의해 내부에 형성된
전기장을 약하게 함으로써 정공이나 전자는 이동하기 쉬워져 p형에서
n형 쪽으로 전류가 흐른다.
③ 역방향 전압을
가했을 때 (n형에 +, p형에 - 전압을 가했을 때)
- 정공은 (+) 성질을 띄고 있으므로
전원의 -측에 끌려가고 전자는 (-)성질을 띄고 있으므로 전원의 +측에 끌려간다.
- 이와 같이, 역방향 전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전기장을 더욱 강하게
함으로써 정공이나 전자의 이동이 없으므로 전류는
거의 흐르지 않는다.
④ 정류 작용 : 한방으로만
전류를 흐르게 함.
(2) 다이오드의 특성 표시
[1] 전압-전류 특성
- 전압, 전류의 관계가 곡선이다.
- 순방향에서도 어느 전압까지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2] 최대 정격
: 다이오드에 가할 수 있는 최대의 전압과 흘릴 수 있는 최대의 전류
[3] 전기적 특성
: 전기적 특성의 수 값에 의해 다이오드의 전기적 사용 범위를 정할 수 있다.
[4] 이상적인 다이오드의 특성
- 순방향의 저항값 : 0
- 역방향의 저항값 : ∞
(3) 간단한 다이오드 회로
[1] 다이오드와 저항의 직렬 회로
(가) 이상적인 다이오드를 생각할 경우
- D의 저항값 : 0[Ω] → VD=0[V]
- ID=E/R → VR=E[V]
(나) 실제의 특성을 고려할 경우
E=VD+VR=VD+RID
ID=-VD/R+E/R(VD=0→ID=E/R,
ID=0→VD=E)
동작점→VD, ID
(다) 이상적인 다이오드와의 차이
- VD의 차는 대략 0.6∼0.9[V]정도
- ID의
차는 E가 크면 작다.
[2] 정류 회로
정류 : 교류를 직류로 변환
(가) 반파 정류 회로
vab>0(순전압) → D=0(short) → iR=vab/R
vab<0(역전압)
→ D=∞(open) → iR=0
(나) 브리지 정류 회로
vab>0 → D1, D3
: 순전압 → iR=vab/R
D2, D4 : 역전압 → iR=0
vab<0 → D2, D4
: 순전압 → iR=vab/R
D1, D3 : 역전압 → iR=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