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7.

(2)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Netscape Communicator)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웹 브라우저는 넷스케이프와 익스플로러로 이들의 기능은 거의 비슷하며 메뉴의 구성과 방식도 흡사하다.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Netscape Communicator)는 윈도뿐만 아니라 유닉스, 맥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있다. 넷스케이프 4.0 버전 이후부터는 통합적인 인터넷 응용 패키지로 자리잡았다. 넷스케이프 4.5 버전은 1998년 7월에 발표되었으며, 현재 6.0 버전을 넷스케이프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1) 넷스케이프의 화면구성

넷스케이프 화면은 메뉴, 도구모음(Toolbar), 위치 도구모음, 개인 도구모음, 컴포넌트 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그림Ⅱ-34]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트의 초기화면


(가) 메뉴 표시줄(Window menubar) : 파일, 편집, 보기 등 6개의 메뉴가 있으며, 해당 메뉴를 클릭 하면 하위 메뉴를 볼 수 있다.

(나) 검색 도구모음(Navigation Toolbar) : 메뉴에 있는 내용 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별도의 도구 아이콘으로 구성한 것으로 그림과 텍스트를 함께 나오게 하거나 하나만 나오게 할 수 있다.

(다) 넷스케이프 로고: 로고의 이미지가 변하면서 사이트 접속중임을 보여준다. 이곳을 클릭 하면 넷스케이프의 홈페이지로 이동한다.

(라) 위치 도구모음(Location Toolbar) : URL을 입력하거나 접속된 사이트의 주소를 보여준다.

(마) 개인 도구모음(Personal Toolbar) : 개인이 자유롭게 수정 및 등록할 수 있는 버튼들이 모여 있다.

(바) 웹 문서 영역(Page Display) : 웹 페이지의 본문 내용이 나타나는 곳이다.

(사) 보안정보 표시줄(Security Indicator) : 웹 페이지의 보안 유지 관계를 나타낸다. 자물쇠 모양 아이콘을 클릭 하면 보안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보안 정보 페이지가 나타난다.

(아) 온/오프 상태 표시줄(On/Off Status Indicator) : 웹 페이지의 보안 유지 관계를 나타낸다. 자물쇠 모양 아이콘을 클릭 하면 보안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보안 정보 페이지가 나타난다.
접속상태 표시기 : 현재 온라인 작업중인지 오프라인 작업 중인지를 나타내며 이 아이콘을 클릭 하여 상태를 반전시킬 수 있다.

(자) 전송량 표시줄(Progress Bar) :현재 작업의 진행 정도를 %로 나타낸다.

(차) 상태 표시기(Status Message Area) :
사이트 URL이나 페이지 접속 진행 정도 등을 나타내며 자바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링크된 단어의 설명을 이곳에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카) 컴포넌트 바(Component Bar) :
넷스케이프 네비케이터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을 모아 놓은 툴바로서 왼쪽을 더블 클릭 하면 별도의 툴바가 생성된다. 네비케이터(Navigator), 전자우편(Inbox), 뉴스그룹 읽기(News group), 주소록(Address Book), 문서 저작 에디터(Composer)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Page 79.

2) 주요 메뉴의 기능

한글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 4.X는 다양한 메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여기서는 간단하게 각 메뉴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만 한다.

(가) 주 메뉴

주 메뉴에는 다음과 같은 메뉴들이 있다

.  

[그림Ⅱ-35] 넷스케이프의 메뉴구성

① 파일 : 파일을 사용한 작업
② 편집 : 페이지 내용 편집과 Communicator의 환경설정
③ 보기 : 페이지 내용을 볼 때의 선택사항들
④ 찾아가기 : 페이지 탐색
⑤ Communicator : Communicator의 컴포넌트 표시
⑥ 도움말: Communicator 사용시의 도움말

Communicator는 선택한 내용에 따라 달라지는 팝업 메뉴를 제공하는데, 팝업 메뉴의 각 항목은 자주 사용되는 몇 가지 명령과 프레임 관련 명령에 대한 단축키이며 팝업 메뉴에 나타나는 항목은 마우스가 위치하는 화면 요소에 따라 달라진다.

Windows와 Unix의 경우,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하면 팝업 메뉴가 나타나고 Mac OS의 경우, 마우스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팝업 메뉴가 나타난다.

   

 

  

 

[그림Ⅱ-36] 팝업 메뉴


(나) 파일 메뉴

파일 메뉴를 사용하면 파일을 열거나 저장할 수 있고, 인쇄나 커뮤니케이터(Communicator) 창과 관련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림Ⅱ-37] 파일 메뉴


 
1) 새로만들기(New)

① Navigator 창(Window)
새로운 브라우저 창을 열어, 윈도 상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윈도를 만들어 여러 개의 사이트를 접속할 수 있다. 각각의 윈도에서 웹사이트의 접속 파일 다운로드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② 메시지(Message)
메시지 작성 창에서
새로운 메일 메시지를 만들고 전송한다. 보내고자하는 상대방 주소로 메시지뿐만 아니라 외부 파일, 웹 페이지 발송이 가능하다.

③ 빈 페이지(Blank page)
Composer에서 새로운 웹 페이지를 작성한다.

④ 템플릿 사용 페이지(Page From Template)
기존의 페이지 템플릿을 선택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웹 페이지를 작성한다.

⑤ 마법사 사용 페이지
마법사가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웹 페이지를 작성한다. 단계적으로 기본적인 Composer 기능을 설명해 준다.


2) 페이지 열기

내용 영역에 페이지를 불러오기 위해 URL을 입력하도록 한다.(찾아보기 버튼을 사용하여 파일을 선택할 수도 있다.)
Navigator 창이나 Composer 창 중에서 페이지를 열 창을 선택할 수 있다.
페이지의 위치를 지정한 후 열기 버튼을 클릭 하면 페이지가 열린다.

3) 다른 이름으로 저장

현재보고 있는
웹 페이지 내용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일반 텍스트 형식(TXT)이나 소스(HTML)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단, 그림 정보들은 저장되지 않는다.

4) 다른 이름으로 프레임 저장

웹 페이지가
여러 개의 프레임(창)으로 나누어졌을 경우 특정 프레임의 문서 내용을 저장한다. 일반 텍스트 형식(TXT) 및 소스(HTML)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단, 그림 정보들은 저장되지 않는다.

5) 페이지 보내기(Send Page) (또는 프레임 보내기)

현재보고 있는
웹 페이지를 전자우편을 통해 발송해주는 기능으로 메시지 작성 창에서 새로운 메일 메시지를 작성하는데, 현재 페이지를 첨부 내용으로 포함시킨다.

6) 페이지 편집(Edit Page)

현재 페이지를 편집한다.
페이지를 편집하면 페이지 내용과 화면 표시를 HTML 소스 텍스트를 수정하고 기본을 만들 수 있다.

7) 프레임 편집(Edit Frame) (또는 프레임 세트 편집)

프레임 편집은
선택한 프레임을 편집한다. 선택한 프레임이 없을 경우, 프레임 세트를 편집한다.

8) 파일 업로드(Upload File)

현재 URL이 지정하는
FTP 서버로 전송할 파일을 선택한다. 이 명령은 현재 페이지가 FTP 사이트에 연결했을 때만 사용할 수 있다.

9) 오프라인 작업/온라인 작업

현재 온라인 작업 중이라면 인터넷 서비스 업체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현재 오프라인 상태였다면 연결하기 위한 대화상자를 표시한다.

10) 페이지 설정(Page Setup)

연속 인쇄를 할 수 있도록 인쇄 특성을 지정한다.

11) 미리보기

인쇄할 페이지를 화면으로 미리 보여 준다.

12) 인쇄 (또는 프레임 인쇄)

현재 Navigator 페이지의 내용을 인쇄한다. 프레임을 선택했을 경우, 해당 프레임을 인쇄한다. 다양한 인쇄특성을 선택할 수 있다.

13) 닫기

현재 웹 브라우저 창을 닫는다. 윈도우의 경우, 마지막 창을 닫으면 Communicator가 종료된다.

14) 종료

현재 Navigator 창을 닫고 Communicator를 종료한다.

       Page 82.

(다) 편집 메뉴

 편집 메뉴를 사용하면 Communicator 창 내에서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 및 검색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ommunicator에 대한 환경을 설정할 수도 있다.  메뉴에 포함된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1) 잘라내기

현재 선택한 내용을 삭제하고 사본을 클립보드에 갖다 놓는다.

2) 복사

현재 선택한 내용을 클립보드로 복사한다.

3) 붙여넣기

현재 Navigator 페이지의 커서 위치에 클립 보드 내용을 기록한다.

         
[그림Ⅱ-38] 편집 메뉴


4) 전체 선택

현재 창의 전체 내용을 선택한다.

5) 페이지에서 찾기 (또는 다시 찾기)

현재의 Navigator 페이지(또는 프레임) 안에서 찾을 단어나 문구를 입력한다. 검색을 시작하려면 찾기 버튼을 클릭 한다. 일치하는 것을 찾게 되면, 해당 텍스트가 선택되며, 필요할 경우에는 내용 영역이 보이는 위치로 화면이 이동한다. 대/소문자 및 전자/반자 구분 옵션을 선택하면, 대문자와 소문자까지 정확하게 일치되는 것을 찾아 준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대소문자 구분 없이 일치하는 내용을 찾게 된다. Windows의 경우, 위로 또는 아래로를 선택하여 검색 방향을 해당 페이지의 처음이나 끝 쪽을 향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현재 선택한 내용이 있을 경우, 선택된 위치부터 검색이 시작되며, 검색 진행 방향의 끝까지 도달하면 반대 방향으로 다시 검색하지 않는다.

6) 인터넷 검색

인터넷 검색 엔진과 다른 검색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페이지가 표시된다. 다른 방법으로, 도구모음의 검색 버튼을 클릭해도 같은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7) 기본설정

광범위한 환경설정 대화 상자를 보여준다. 각 항목을 클릭 하면 해당 환경설정 하위 항목이 나타나며 어떤 항목은 다른 항목 아래 포함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글꼴과 색 항목은 외양 항목 아래에 포함되어 선택 항목들이 있으며 확인 버튼을 클릭 하면 대화 상자를 닫고 해당 설정 내용이 적용된다. 취소 버튼을 클릭 하면 변경 내용을 적용하지 않고 대화 상자를 닫으며 각 환경설정 항목에 대한 온라인 정보를 얻으려면 도움말 버튼을 클릭 한다.

(라) 보기 메뉴

보기 메뉴를 사용하면 도구모음과 페이지 내용 및 페이지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메뉴에 포함된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1) 표시

① 네비게이션 도구모음

주요 도구모음 버튼들을 감추거나 나타낸다.

② 위치 도구모음

위치(URL) 입력란과 책갈피 메뉴를 감추거나 나타낸다.

2) 개인 도구모음

개인 도구모음을 감추거나 나타낸다.



                                                                  
[그림Ⅱ-39] 보기 메뉴

3) 글꼴 증가/감소

화면 텍스트의 글꼴 크기를 더 크게/작게 한다. 가변폭 글꼴과 고정폭 글꼴 모두 한 단계 더 큰 크기로 증가/감소된다. 사용자가 글꼴을 변경하면 글꼴 환경설정 항목에 있는 설정값도 변경된다. 편집 메뉴를 열고, 환경설정을 선택한 다음, 글꼴 항목을 선택하면 글꼴과 글꼴 크기를 직접 지정할 수 있다.

4) 다시 읽기

현재의 Navigator 페이지 화면을 다시 표시한다. Navigator는 네트웍 서버를 점검하여 해당 페이지가 변경되었는지 검사한다. 내용이 변경되지 않았다면 캐시에서 해당 페이지를 읽어 오고, 내용이 변경되었다면, 네트웍 서버에서 페이지를 전송 받는다.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검색 도구모음의 다시 읽기 버튼을 클릭 하면, 해당 페이지의 변경 여부와 상관없이 네트웍 서버에서 새로운 페이지를 읽어 온다.

5) 이미지 표시

현재 Navigator 페이지에 이미지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미지는 페이지를 읽어올 때 자동으로 읽혀진다. 그러나, 고급 대화상자의 자동으로 이미지 읽기 환경설정 항목이 선택되지 않았다면, 페이지를 읽어올 때 해당 이미지 위치에 작은 아이콘이 대신 표시된다. 이 경우 보기 메뉴의 이미지 보기를 선택하면 작은 아이콘들이 모두 해당 이미지들로 대체된다. 이미지는 소스 파일에서 다시 읽어 오지만 페이지는 다시 읽어오지 않는다. (이미지에 대한 링크는 소스 페이지에서 다시 읽어오지 않는다.)

6) 새로 고침

현재 Navigator 페이지의 사본을 컴퓨터의 메모리에서 복사하여 다시 표시한다. 다시 읽기와 달리 다시 그리기는 페이지가 변경되었다 해도 갱신된 내용을 표시하지 않는다. 단순히 페이지를 다시 나타낼 뿐이다.

7) 페이지 읽기 중단

진행중인 페이지 전송을 중단한다.

8) 애니메이션 중단

진행중인 애니메이션을 중단한다.

9) 페이지 소스

소스 창에 현재 페이지를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표시한다. HTML 소스 텍스트에는 한 페이지의 내용을 작성하는데 사용한 명령이 포함되어 있으며 프레임이 있는 페이지의 경우, 해당 프레임을 선택(클릭)하고, 해당 프레임 위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 한 후 이어 나타나는 팝업 메뉴에서 프레임 소스 보기를 선택하면 해당 프레임의 HTML 소스를 볼 수 있다.(소스 창을 무시하고) 소스 텍스트를 보기 위한 프로그램을 지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려면, 우선 편집 메뉴를 열어 환경설정을 선택한 후 프로그램 대화상자를 선택하고 설명란의 목록에서 'HyperText Markup Language' 타입을 선택하여 편집 버튼을 클릭 한 후 실행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이어 기본 뷰어로 사용할 프로그램을 찾기 위해 찾아가기 버튼을 클릭 한 후 나타나는 대화 상자를 사용한다(또는 옆의 입력란에 해당 위치를 입력한다).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 하여 환경설정 대화상자를 닫는다.

10) 페이지 정보

현재 페이지의 구조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별도의 창에 표시된 페이지가 나타난다. 여기에는 (존재할 경우에만) 제목과 위치(URL), 파일 MIME 타입, 소스, 로컬 캐시 파일, 최종 수정일, 내용 길이, 유효 만기, 문자 종류, 그리고 인코딩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보안 기능이 있는 페이지는 사용된 암호 종류와 인증서 정보 종류를 지정한다. 인증서에는 버전과 일련 번호, 발행자 (인증자 ID), 그리고 대상(서버 ID) 정보가 설명되어 있다. 프레임이 있는 페이지의 경우, 프레임을 선택한 후, 해당 프레임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하면 팝업 메뉴가 나타나는데, 이 메뉴에서 프레임 정보를 선택하면 프레임의 페이지 정보를 볼 수 있다.

11) 문자세트

페이지 인코딩이 지정되지 않았거나 사용할 수 없을 때, 이 하위 팝업 메뉴를 사용하면 사용할 문자 종류 인코딩을 지정할 수 있다. 글꼴 환경설정에 지정된 가변폭 글꼴과 고정폭 글꼴을 사용할 수 없을 때도 이 메뉴 항목을 사용한다. 인코딩 값을, 해당 인코딩이 지정되지 않았거나 사용할 수 없는 페이지에 대한 기본값으로 설정하고 싶다면, 인코딩 하위 팝업 메뉴에서 기본값으로 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마) 이동 메뉴 사용하기

찾아가기 메뉴로 페이지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메뉴에는 다음 항목들이 있다.

1) 뒤로

방문 기록 (또는 프레임 기록) 목록에 있는 이전 페이지를 나타낸다
. 방문 기록 리스트는 사용자가 보았던 일련의 링크들을 순서대로 가지고 있으며 프레임 방문 기록 리스트는 프레임 세트 내에서 사용자가 보았던 일련의 프레임들을 순서대로 가지고 있다.

2) 앞으로

방문 기록 (또는 프레임 방문 기록) 목록에 있는 다음 페이지를 나타낸다. 한 페이지 뒤로 가기 위해 뒤로 항목이나 방문 기록 메뉴 항목을 사용했다면, 앞으로 항목은 방문 기록 리스트 순서에서 앞에 있는 페이지를 나타낸다. 앞으로 항목은 사용자가 뒤로 또는 방문 기록 항목을 사용한 다음에만 사용할 수 있다.

3) 홈

편집 메뉴를 열고 환경설정을 선택한 후 브라우저 항목에서 지정한 홈페이지를 표시한다. 기본 홈페이지는 Netscape사의 홈페이지이다.

(바) Communicator 메뉴

Communicator 메뉴를 사용하면 Communicator의 각 컴포넌트 사이를 전환하고 Communicator의 주요 기능이 나타나는 창을 실행할 수 있다. Communicator 메뉴에 포함된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1) Navigator

새로운 넷스케이프 창을 열어준다. 두 개 이상의 창이 열려 있는 경우에는 창 사이를 이동한다.

2) Messenger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아웃룩 익스프레스와 거의 같은 기능을 하는 전자우편 프로그램으로 메일수신 및 송신, 답 장 등의 기능이 있다

3) Composer

웹 문서를 새롭게 만들거나 편집할 때 사용하는 웹 문서 편집기이다. 텍스트 편집기를 이용하여 HTML 문서를 작성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4) AOL Instant Messenger Service

Screen Name 및 전자우편 주소 검색을 통하여 인명을 검색한 후 쪽지 서신을 실시간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5) 책갈피(Bookmark)

책갈피 파일을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는 책갈피 창을 표시한다.

① 책갈피 추가(Add Bookmark)
현재 화면에 보고 있는 웹 페이지를 책갈피 목록에 등록한다.

② 파일 책갈피(File Bookmark)
커뮤니케이터 4.0부터 추가된 기능이다. 현재 위치하고 있는
페이지 URL을 사용자가 원하는 폴더에 북마크하는 기능이다

③ 책갈피 편집(Edit Bookmarks)
책갈피를 편집하는 기능
이다. 책갈피 내의 폴더를 이용하여 URL들을 종류별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폴더의 생성 및 제거, 이름 변경 등을 할 수 있으며 넷스케이프의 개인 도구모음(Personal toolbar)을 편집할 수도 있다.

6) 뉴스 그룹(News group)

수신된 전자우편 메시지나 뉴스 그룹을 관리하는 넷스케이프 메시지 센터가 실행된다.

7) 주소록(Address Book)

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파일을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는 주소록 창을 표시한다.
전자우편을 보내거나 뉴스기사를 사용하기 위한 주소록이나 mailing list를 만들 수 있다. New Card나 New List를 사용하여 주소록을 작성한 뒤 New로 메일을 보낸다.

8) 도구(Tools)

① 방문기록(History)
    : 사용자가 최근에 보았던 페이지를 나열한 방문 기록 창을 표시한다. 선택한 페이지를 표시하려면 해당 항목을 더블클릭 한다.

② 보안정보(Security Info)
    
: 다른 사용자가 물리적인 방법이나 네트워크 상으로 현재의 웹 페이지를 볼 수 있을 경우 Password 등을 설정하여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③ 메시지 센터(Message Center)
    : 메시지 센터 창을 표시하는데, 여기에는 메일과 토론 그룹(뉴스 그룹) 메시지를 위한 편지함과 폴더가 포함되어 있다.

④ 가져오기 유틸리티(Import Utility)
    
: 넷스케이프 address book이 아닌 다른 mail program에서 address book을 가져올 수 있다.

⑤ 자바 콘솔(Java Console)
    
: 자바 콘솔 윈도우를 보여준다.

9) 창(Window)

현재 열려 있는 넷스케이프 창을 이동할 수 있다.

(사) 도움말(Help) 메뉴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를 사용할 때의 도움말을 보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넷스케이프는 도움말 또한 월드 와이드 웹을 이용하고 있다. 각각의 도움말을 선택하면 넷스케이프 홈페이지의 도움말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Page 89.

3)
도구 모음

(가) 검색 도구모음(Navigation Toolbar)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령들을 모아놓은 것이 검색도구모음이다.

 


1) 뒤로(Back)

재접속 중인 홈페이지 이전에 방문했던 홈페이지로 되돌아간다. 또한 마우스 왼쪽 단추를 길게 누르고 있으면 넷스케이프 실행 후 접속했던 홈페이지 목록이 나타난다.

2) 앞으로(Forward)

뒤로 와는 반대의 기능을 수행한다
. 단, 뒤로 아이콘을 클릭한 후에만 사용 할 수 있다. 뒤로 아이콘처럼 마우스 왼쪽 단추를 오래 누르고 있으면 현재의 홈페이지 이후에 방문했던 홈페이지 목록이 나타난다.

3) 다시읽기(Reload)

접속하려는 홈페이지 정보가 통신 장애 등으로 누락된 경우 또는 최근에 바뀐 내용으로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시 읽기 아이콘을 클릭 하면 재접속하여 다시 읽어 온다.

4) 홈(Home)

아이콘을 클릭 하면 시작 페이지로 설정된 홈페이지로 접속한다. 시작 페이지란 넷스케이프가 실행되자마자 항상 접속되는 홈페이지이다. 기본 시작 페이지는 넷스케이프사의 홈페이지로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5) 검색(Search)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검색엔진들의 사이트를 연결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검색엔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준다. 특정한 검색엔진을 선택하면 즉시 해당 검색엔진 사이트로 이동한다.

6) 안내서

이미 등록되어 있는 개인 홈페이지로 이동하도록 한다.

7) 인쇄(Print)

현재 접속중인 페이지의 정보를 프린터로 인쇄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아이콘을 클릭 하면 윈도에서 기본 프린터로 설정되어 있는 프린터로 화면 내용과 동일하게 인쇄된다.

8) 보안(Security)

현재 접속 중인 페이지의 보안 정보 표시, 암호 설정 등의 보안 관련 제어상자가 나타난다.

9) 중단(Stop)

접속 시도를 강제로 중지시킨다.
어떤 페이지에 접속을 시도하는데, 접속이 잘 안될 경우에 이 아이콘을 클릭해 접속 시도를 중지시킨 후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때 사용한다. ESC 키를 누르는 것과 같다.

(나) 위치 도구모음(Location Toolbar)

위치 도구모음에는 책갈피(Bookmark), 책갈피에 링크 추가하기, 위치 입력 상자, 관련 사이트 모음 상자 등이 있다.


1)   : 책갈피는 자주 방문하는 홈페이지의 주소를 관리한다.

2)     : 책갈피에 현재 방문중인 링크를 추가할 수 있는데, 이 아이콘을 책갈피로 끌어다 넣으면 된다.

3)  

      : 위치 입력 상자에는 방문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 주소를 입력할 수 있으며, 현재 방문중인 웹 페이지의 주소가 표시된다.

4)     : 현재 방문중인 홈페이지와 관련 있는 사이트의 주소를 관리한다.

(다) 개인 도구모음(Personal Toolbar)

 개인도구모음은 자주 방문하는 웹 페이지의 버튼을 넣어 두는 곳이다. 등록방법은 책갈피의 개인 도구모음 폴더에 원하는 웹 페이지를 추가하면 된다. 개인 도구모음에는 실행파일을 등록시킬 수 없다.


(라) 컴포넌트 바(Component Bar)

컴포넌트 바는 넷스케이프 브라우저인 네비게이터(Navi- gator), 전자우편(Inbox), 뉴스그룹 읽기, 주소록, HTML 문서 저작 에디터인 Composer 등의 기능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작은 아이콘들을 모아 놓은 표시줄이다.


 

 

 

 

 

 

4) 기본 옵션 설정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의 수행 시
환경을 설정하는 기능으로 기본 옵션은 편집메뉴에서 기본 설정을 실행함으로써 Appearance, Navigator, 메일 및 뉴스그룹, 로밍 액세스, Composer, 오프라인, 고급 등의 옵션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림Ⅱ-42] Navigator 기본 설정
 

1) Appearance

웹 브라우저에 도구모음 표시 여부 및 웹 문서의 글꼴(Fonts) 등을 설정한다.

2) Navigator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를 시작할 때의 홈페이지 설정을 비롯하여 방문기록에 관한 옵션을 지정한다. 시작 페이지는 3가지 중에서 하나가 선택될 수 있는데, 빈 페이지, 홈페이지, 마지막 페이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홈페이지의 설정이 가능한데 【그림Ⅱ-41】에서는 http://www.comedu.pe.kr 로 설정되어 있으나, 언제든지 설정은 바꿀 수 있다.

3) 메일 및 뉴스그룹

이 옵션은 사용자 정보, 메일 서버, 뉴스그룹 서버 등의 내용을 설정하는데 【그림
Ⅱ-42】는 사용자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 정보는 5가지 사항에 대해 설정이 이루어지는데, 사용자 이름, 전자우편 주소, 회신 주소, 소속, 서명 파일 등이다.



    
[그림Ⅱ-43] 메일 및 뉴스그룹 기본 설정


용자 이름은 전자우편을 보낼 때의 대표 이름을 설정한다. 전자우편 주소는 전자우편을 보내는 이용자의 주소를 설정한다. 회신 주소는 전자우편을 받는 이용자의 주소를 설정하며 전자우편의 주소와 다른 경우에만 설정한다. 소속은 전자우편을 보내는 이용자의 직장명 등의 소속을 설정하는 것으로 옵션이다. 서명 파일은 전자우편을 보내는 이용자의 서명 내용을 파일로 저장해 놓거나 카드로 만들어 놓음으로써 전자우편을 보낼 때마다 끝 부분에 첨부된다.

4) 로밍 액세스

네트워크의 어느 곳에서도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5) Composer

웹 페이지 작성에 대한 일반적인 기본 옵션을 설정한다.

6) 오프라인(Off Line)

커뮤니케이터의 시작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모드로 시작이 가능하다. 온라인의 경우에는 네트워크에 대한 전체 액세스가 가능하다. 오프라인인 경우에는 이전에 다운로드 한 메시지만 읽을 수 있다.

7) 고급

고급기능의 기본 옵션으로 캐시, Proxy 등을 설정한다.

 


◀익힘 문제▶



 

1. 웹의 개념과 발달과정을 알아보자.

2. 웹의 장점을 알아보자.

3. 웹의 구소 요소별 역할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자.

4. http의 개념과 동작 원리를 설명하여 보자.

5.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데이터 교환 과정을 알아보자

6. 웹 브라우저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여 보자.

7. 웹 브라우저의 기능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자.

8. 익스플로러의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자.

9. 익스플로러 화면 구성의 각각의 명칭을 알아보자.

10. 익스플로러의 주요 환경 설정에서 보안에 대하여 알아보자.

11. 익스플로러 주요 메뉴의 기능을 조사하여 보자.

12. 익스플로러의 표준 단추들의 기능을 설명하여 보자.

13. 익스플로러 팝업메뉴에서 마우스의 위치가 문서 위, 이미지 위, 링크된 텍스트 위에 있을 때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14. 아웃룩 익스프레스의 전자우편 계정등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여 보자.

15. 아웃룩 익스프레스를 이용하여 전자우편 보내기와 받기를 해보자.

16. 넷스케이프 화면 구성의 명칭을 알아보고 그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자.

17. 넷스케이프 주요 메뉴의 기능을 조사하여 보자.

18. 넷스케이프의 검색도구 모음의 기능을 설명하여 보자.

19. 컴포넌트 바의 구성 요소와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자.

20. 넷스케이프의 기본 옵션 설정에서 메일 및 뉴스그룹 환경을 설정하여 보자.

22. 넷스케이프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을 송수신할 때 미리 설정하여야 하는 사항들을 알아보자.